전체 글

개발 이야기 모음집
· Docker
컨테이너화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코드와 모든 종속성을 포함하는 경량의 독립 실행형 패키지를 만드는 기술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도 일관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충돌 없이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한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다. 컨테이너화는 '가상화'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가볍고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 알고리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새 Scanner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할 준비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 사용자로부터 한 줄의 문자열 입력을 받음 String input = in.nextLine(); // 입력받은 문자열을 공백 기준으로 나누어 String 배열로 변환 // "\\s+" 정규 표현식은 하나 이상의 공백 문자에 매치됨 String[] strarr = input.split("\\s+"); // 가장 긴 단어를 저장할 변수 초기화 String result = ""; // 각 단어에 대해 반복 for (String word : strarr) { // 현재 단어의 길이가 지금까지 찾은 ..
· 알고리즘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canner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음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음 String input = in.next(); // StringBuilder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처리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 // 입력받은 문자열의 길이만큼 반복 for (int i = 0; i < input.length(); i++) { // 현재 인덱스의 문자를 가져옴 char c = input.charAt(i); // 문..
· 알고리즘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문자열을 입력받음 String input1 = in.next().toLowerCase(); // 첫 번째 입력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변환 String input2 = in.next().toLowerCase(); // 두 번째 입력 문자열도 모두 소문자로 변환 // 첫 번째 문자열에서 두 번째 문자열에 해당하는 문자의 개수를 센다 int findCharCount = (int) input1.chars() // input1 문자열을 IntStream으로 변환 .f..
· Error
스프링 3 버전에서는 자바 17이상만을 지원하는데 그이하 버전을 사용했을때 나는 문제 인텔리제이의 사용경우 1. File -> Setting 클릭 2.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Gradle 클릭 3. 최하단 Gradle JVM에서 다운받은 17이상의 JDK를 넣어준다.
· GoLang
버전에 따른 변화 1.11 버전부터 의존성 관리, 패키지 관리기능이 추가 1.16 버전부터 go.mod를 GOPATH 대신 디폴트로 사용하도록 변경 GOPATH의 문제 1. GOPATH를 바꾸지 않으려면 모든 프로젝트는 한 workspace에 저장되여야한다. 2. 새로운 directory를 만들어서 개발하려면 GOPATH를 변경하고 또 필요한 패키지를 가져와야한다. 3. 패키지가 저장되는곳은 패키지네임과 같은 directory라서 여러버전을 설치할수 없다. 위와 같은 문제로 개발을 위한 workspace가 GOPATH에 고정이 되어버려서 의존성 관리가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GoModule은 위의 문제들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관련 명령어 1. go mod init [path]..
Nanseo
금요일개발